목록JSTL (6)
작콩큰콩

2021. 8. 26. 12:48 선언 - jsp 에서 jstl 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일단 위쪽에 taglib 을 선언해주어야 한다.
2021. 8. 26. 13:49 사용 [true 라면 나타낼 사항] - 예시 number와 나리를 비교해서 나리 일 경우 버튼을 보여준다. 임시저장 test 에 사용될 연산자 eq(==) : 문자열 또는 숫자가 같으면 참 ne(!=) : 문자열 또는 숫자가 다르면 참 empty : List 또는 배열이 비어있거나, 문자열이 null 또는 빈 문자열이면 참 not empty : List 또는 배열이 비어 있지 않을 경우, 문자열이 값이 있을 경우 참 and (&&) : 모두 참일때 참 or (||) : 둘중 하나라도 참이면 참 not (!) : 논리를 반전 - 괄호 사용 : 논리연산의 우선 순위를 지정할 수 있음
태그는 URL에 자동으로 Context Path 를 붙여주는 일을 합니다. 컨텍스트를 변경하더라도 URL을 수정할 필요가 없게 되는 것입니다. 이 태그는 jstl core 태그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을 사용하려면 다음 tablib 지시자를 페이지 상단에 포함하여야 합니다.

${a == b} / ${a} == b 그냥 둘 다 되니까 그냥 같은건가 했다. 그런데 확인을 해보니 달랐다. ${a == b} 은 같은지 다른지 확인을 한 뒤true, false 값을 나타내준다. ${a} == b 은 그냥 값을 보여준 뒤 확인을 하는 것 같다. 어느것이 좋은지 모르겠다. 누가 알려줬으면... true, false 값을 받아서 뭔가를 해야한다면 위의 방법이 맞는 것 같다. }else{ console.log(${page.fbs_dseq}); if(${page.s_prj_seq == "58864"}){ if(${page.fbs_dseq} == "8394"){ $("#documentJqGrid").jqGrid("showCol","keyword"); } }else if(${page.s_prj_..